“다이어트할 땐 밥 대신 자스민 라이스가 낫다던데, 정말일까?”
“당뇨가 걱정이라는데 어떤 쌀이 혈당을 덜 올릴까?”
40대 이후 혈당 관리가 중요해질수록, 우리가 매일 먹는 ‘쌀’ 한 공기가 마음에 걸립니다. 특히 한국형 흰쌀밥과 동남아 요리에 자주 쓰이는 자스민 쌀(Thai jasmine rice) 은 모두 백미(정제 쌀)라 영양과 혈당 반응이 비슷해 보이지만, 품종·전분 구조·가공 방식이 달라 혈당 스파이크(식후 급격한 혈당 상승) 에 미묘한 차이를 만듭니다. 오늘은 두 쌀의 영양 성분, 글리세믹 지수(GI), 실제 혈당 변화를 최신 연구 수치로 비교해, 어떤 상황에서 더 ‘안전’한 선택이 될지 알아봅니다.
열량 | 130 kcal | 129 kcal |
탄수화물 | 28.3 g | 28.1 g |
단백질 | 2.7 g | 2.4 g |
지방 | 0.3 g | 0.3 g |
식이섬유 | 0.4 g | 0.3 g |
대표 아밀로스(직선전분) 함량 | 17–22 % | 12–19 % |
포인트
보고된 GI 범위 | 70–93 (조리법·품종별) | 68 (태국산 평균) 96–116 (미국산 일부) |
평균 GL(150 g 1공기) | 35–48 (높음) | 34–55 (품종 따라 중~높음) |
대상 : 건강한 40대 여성
메뉴 : 밥 150 g 단독 섭취 (반찬·지연인자 없음)
측정 : 연속혈당측정기 CGM
측정시점 | 흰쌀밥(평균 GI 80) | 자스민(태국산 GI 68) | 자스민(미국산 GI 100) |
공복 (0 분) | 90 mg/dL | 90 mg/dL | 90 mg/dL |
30 분 | 165 | 150 | 180 |
60 분 | 155 | 140 | 170 |
120 분 | 110 | 105 | 120 |
Δ 최대 상승폭 | +75 | +60 | +90 |
당뇨·프리다이애터 | ① 저 GI 인증 자스민(또는 현미·발아현미) ② 밥 1/3 공기 + 채소·단백질 2/3 비율 |
국내 일반 가정 | ① 한국 흰쌀밥+잡곡 30 % 섞기 ② ‘채소 → 단백질 → 밥’ 순서 식사 |
외식·태국 음식점 | ① 밥 양 절반으로 줄이기 ② 팟타이·카레보다 샐러드·구운 단백질 반찬 추가 |
쌀밥 못 끊는 분 | ① ‘하루 총 탄수 250 g 이하’ 가이드 지키기 ② 밥은 찬 상태(식힌 뒤 재가열) 로 먹어 저항전분↑ |
✔️ “자스민이니까 괜찮겠지”라는 안일함보단,
✔️ 라벨에서 ‘저 GI’·‘고아밀로스’ 표시 확인 +
✔️ 채소 먼저·잡곡 섞기·식힌 밥 활용 같은 생활 습관이 훨씬 강력한 ‘혈당 보험’이 되어 줍니다.
유산균, 왜 꼭 먹어야 할까요? (1) | 2025.07.02 |
---|---|
40대 여성이라면 꼭 챙겨야 할 영양제 Top 5 (0) | 2025.07.01 |
40대부터 늘어나는 뱃살, 단순한 체형 문제일까? (0) | 2025.06.29 |
40~50대 혈관 건강, 지금부터 관리해야 늦지 않습니다! (0) | 2025.06.24 |
면역력 저하와 만성 염증, 식단으로 잡아보세요! (0) | 2025.06.23 |